여기서 PSPLink폴더내용중 EBOOT.PBP파일을 제외한 전부와 RemoteJoy폴더의 remotejoy.prx파일을 메모리스틱루트 밑에 SEPlugins 에 복사해 넣는다.
4. SEPlugins폴더가 없으면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game.txt화일을 만들어서 game.txt안에 ms0:/seplugins/psplink.prx ms0:/seplugins/remotejoy.prx 이 내용을 쓴다. 만약 game.txt파일이 있으면 그 안에 추가를 한다.
5. 그 후 리커버리모드 (전원을 10초이상 올려서 PSP 를 셧다운 시킨후 R을 누른 상태로 부팅) 에서 Plugins에 들어가서 psplink.prx [game] Disable remotejoy.prx [game] Disable 두개를 enable 시킨다. 그리고 exit.
6. xmb화면으로 나오면 일단 UMD에 게임을 넣고 게임을 실행시킨다. 게임이 동작하는 중간에 usb와 psp를 연결하면 새 하드웨어 발견화면과 동시에 PSP Type B 의 드라이버를 찾는다. 특정위치에서 설치(고급)으로 들어가서 위에 압축푼 remotejoy_r2/PC/Windows를 골라주면 알아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. vista의 경우 일단 자동으로 찾는데 찾다가 없으면 디스크를 넣고 다음을 누르라는데 거기서 고급메뉴? (정확히 기억이 안남 스냅샷을 안찍어나서..)로 들어가서 위에 과정처럼 remotejoy_r2/PC/Windows를 골라주면 알아서 잘 설치를 한다.
7.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PSP 와 usb 연결을 해지하고 (그냥 빼면 됨) remotejoy_r2/PC로 가서 usbhostfs_pc.exe를 실행한다. 화면이 뜰것이다 그냥 냅두고 pspsh_exe를 실행한다. 그럼 검정 핀 화면이 또 뜰것이다. 그것도 그냥 냅두자. 두개를 순서대로 실행하여야한다. 그 다음에 원하는걸 실행하는데.. Start-RemoteJoy-FS.bat를 실행하면 전체화면이고 Start-RemoteJoy.bat를 실행하면 윈도우화면을 이다. Start-RemoteJoy-FS.bat를 실행해보자 모니터 화면이 꺼지는걸 볼 수 있다. 모니터가 화면에 뿌릴 소스를 한참 찾는다. 이때 다시 usb를 psp에 연결하면 모니터에 psp의 화면이 나오는걸 볼 수 있다.
8. 나는 3.52M33v4인 상태에서 테스트를 했으며 조금 끊기는걸 볼 수 있었다.. 즉 .. 못 해먹겠더라. ㅎ 어디서 들었는데 메모리 스틱을 읽으면 안된다고 하더라. 그래서 자동저장같은걸 풀면.. 끊김없이 잘된다고.. 아! 그리고 리커버리 모드에서 먼저 UMD/ISO를 333으로 맞추고 해야 할 만 하다고 한다.
그 결과를 살펴보자
PSP 에서 위닝9 동작모습
같은 화면이 노트북에도 보인다.
위닝 동작모습 같이 보자~
핸펀으로 찍어서 화질이 많이 딸리다.. 이거야 원.. 포스팅을 항상 밤에 하는지라 다른방에있는 디카를 가져오지 못한다 -_-; (준비성 부족)
자 화면으로 보면 아. 되긴 하는구나. 할 것인데..이게 할만은 한가 한번 영상으로 알아보자.
(화면 흔들리고 화질 안 좋지만.. 참아주세요 ㅜㅜ) 보면 알겠지만.. 중간에 끊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나중에 안 끊기는 방법을 알게 되면 다시 포스팅 하겠다. 여기서 알아둘 것은 내 버전이 3.52M33v4라는것과 내 OS가 vista라는것이다. XP인 분들은 한번 시도해보면 좋을듯 하다. 예로 다른 포스팅에서 동영상을 보았는데.. 정말 하나 끊김 없었다 ㅡ,ㅡ 그게 아마 DJ MAX Potable 2 였던거 같은데...